기업진단과 평가

재무비율분석으로 기업의 장단점과 재무 효율성 파악하기

경영의 지혜 2023. 1. 7. 18:58

재무비율분석이란?

재무비율분석은 경영의 언어라고 하는 회계의 재무제표를 일반 사람들이 면밀하게 분석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중요한 정보만을 간결한 숫자의 형태로 나타낸 것입니다. 재무비율분석을 통해 기업이 잘하는 부분을 찾아내는 데 사용할 수도 있으며 반대로 기업의 허약한 부분을 찾아내는 데에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재무비율 지표로는 레버리지 비율, 유동성 비율, 활동성 비율, 수익성 비율 등을 들 수 있습니다.

유동성 비율

유동성 비율은 단기부채의 상환능력을 알아보는 비율로서 대표적으로 유동자산을 유동부채로 나눈 유동비율(Current Ratio)이 있습니다. 이때 단기부채 또는 유동부채는 기업의 부채 가운에 1년 안에 갚아야 하는 빚을 의미합니다. 이 비율이 클수록 그만큼 기업의 재무유동성이 크다고 볼 수 있는데 산업에 따라 다를 수 있고 절대적인 것은 아니나 200% 이상 유지되는 것을 좋은 상태라고 할 수 있습니다.

재무레버리지 비율

 부채가 없다면 영업이익이 곧 세전이익과 동일하여 영업이익이 변화함에 따른 순이익의 변화율에 차이가 없지만, 부채를 사용하기 때문에 영업이익의 변화가 순이익에 미치는 효과가 커지는 현상을 레버리지 효과라고 합니다. 다시 말하면 타인자본의 의존도와 이자의 지급능력을 판단하는 비율이 레버리지 비율인데 경기 불황이 닥쳐 수익이 감소하게 되면 타인자본 의존에 따른 고정비 부담으로 인해 기업의 지급능력이 악화될 수 있습니다.

활동성 비율

활동성 비율은 회사의 자산관리능력을 알아보는 비율로서 대표적으로는 총자산 회전율이 있습니다. 총자본회전율이라고도 하며 매출액을 총자산으로 나눈 것입니다. 이 외에 재고자산 회전율(=매출액(원가)/재고자산), 매출채권 회전율(=매출액/매출채권), 평균재고일수(=365/재고자산회전율), 평균회수일수(=365/매출채권회전율) 등이 있습니다.

수익성 비율

수익성 비율은 자산과 자본을 활용한 회사의 수익율을 알아보는 비율로서 매출이익률(Return on Sales, Profit Margin), 자산이익률(Return on Assets), 자기자본이익률(Return on Equity) 등이 있습니다.

재무비율분석